생태 & 환경 566

송골매, 알에서 깨어나 하늘을 날기까지 [환경스페셜-특별기획 2부작 섬은 살아있다. 1편 송골매, 굴업도를 날다] / KBS 20110824 방송

송골매, 알에서 깨어나 하늘을 날기까지 [환경스페셜-특별기획 2부작 섬은 살아있다. 1편 송골매, 굴업도를 날다] / KBS 20110824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UISn2Ra9oTk ▶ 인천연안부두에서 남서로 약 90km 떨어진 곳에 굴업도가 있다. 사람이 엎드려 일하는 형상을 하고 있어 굴업도라 이름 지어진 이 섬은 주민 20여명이 살고 있는 작은 섬이다. 인적이 드문 조용한 섬이었지만 최근 대기업의 골프장 건설계획으로 논란이 되면서 굴업도의 자연환경이 재조명되고 있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한국에서는 볼 수 없던 비경을 간직한 굴업도의 풍광과 그곳에서 살아가는 희귀생물들 그리고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송골매, 알에서 깨어나 ..

생태 & 환경 2022.09.25

토종거북 남생이 공격하는 하천 하이에나 붉은귀 거북이 [환경스페셜 - 뿌리공원 그곳에 남생이가 산다] / KBS 20100825 방송

토종거북 남생이 공격하는 하천 하이에나 붉은귀 거북이 [환경스페셜 - 뿌리공원 그곳에 남생이가 산다] / KBS 20100825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L3fPsNBNRHI ▶ 도시 공원 한 모퉁이 , 그곳에 남생이가 산다 대전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뿌리공원은 조상에 대한 뿌리 찾기와 효를 주제로 한 테마 공원이다. 하루 평균 6천명, 주말 평균 1만 명이 찾는 이 도심 공원 앞으로는 유등천이 휘돌아 흐른다. 바로 이곳에서 천연기념물 453호 남생이가 발견되었다. 언제부터인가 우리 하천에서 사라져 갔던 멸종위기 야생동물. 남생이가 어떻게 이 도시 공원에서 살게 된 것일까. 남생이가 이곳에서 자연 서식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일까. 서식지 파괴와 무분별..

생태 & 환경 2022.09.19

8,000km를 날아온 슴새의 땅굴생활 [환경스페셜-8,000km의 귀향, 슴새의 사랑] / KBS 20061227 방송

8,000km를 날아온 슴새의 땅굴생활 [환경스페셜-8,000km의 귀향, 슴새의 사랑] / KBS 20061227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fIqjoyK7g2A ▶ 송년특집 8000km의 귀향, 슴새의 사랑 바다새가 땅굴 생활을? 하늘에서의 슴새는 강하고 우아하지만 육지에서의 슴새는 실수연발이다. 생의 대부분을 바다에서 보내는 바다새의 좌충우돌 육지 나기와 눈물겨운 새끼 키우기! 머나먼 오스트레일리아 해역에서부터 8000킬로미터를 날아온 5000여 마리의 슴새는 번식에 성공하여 돌아갈 수 있을까. ▶ 슴새, 300일간의 귀향일기 사수도의 봄, 슴새는 따뜻한 남쪽 바다를 떠나 어김없이 고향을 찾는다. 새끼를 낳기 위해서다. 번식기에만 야간에 섬으로 상륙하는 ..

생태 & 환경 2022.09.14

신화 속 포세이돈이 타고 다닌 해마는 수컷이 임신을 한다 [환경스페셜-해마] / KBS 20110608 방송

신화 속 포세이돈이 타고 다닌 해마는 수컷이 임신을 한다 [환경스페셜-해마] / KBS 20110608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uiQERtf1SgU ▶ 신화에서 바다의 신 포세이돈이 타고 다녔던 동물, 해마. 전세계에 서식하는 50여종의 해마 중 우리나라에도 5종의 해마가 살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이기로 그 모습이 정말 신화 속으로 사라질 위기에 놓여있다. 그래서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서는 해마를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 서식하는 왕관해마와 가시해마는 전 지구적으로 제한된 서식지에서 살고 있는 진귀한 종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해마를 보호종으로 지정하지 않고 있다. ..

생태 & 환경 2022.09.09

남의 둥지에서 태어난 뻐꾸기 새끼 생존전략 [환경스페셜-야생의 생존전략, 탁란] / KBS 20050928 방송

남의 둥지에서 태어난 뻐꾸기 새끼 생존전략 [환경스페셜-야생의 생존전략, 탁란] / KBS 20050928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NcsB0xmsvaY ▶ 자신의 알을 스스로 돌보지 않고 남에게 맡기는 탁란. 무책임한 얌체 부모인가? 고도로 진화된 생존 전략인가? 시시각각, 남의 둥지를 훔쳐보는 탁란 동물들이 있다. 제 알을 맡기기 위해서다. 침입자들은 감쪽같이 알을 바꿔치기 하거나, 인해전술로 밀고 들어와 알을 낳고 떠난다. 뻐꾸기는 왜 붉은머리 오목눈이의 둥지에 알을 낳을까? 감돌고기는 왜 목숨을 걸고 꺽지의 산란장에 침입하는가? 잔인하게 묘사되어 온 뻐꾸기의 탁란과 희귀한 자연 현상으로 보아온 감돌고기의 탁란. 이들은 왜 제 종족의 운명을 다른 종에게..

생태 & 환경 2022.09.04

둥지 밖은 위험해! 괭이갈매기 새끼 잔혹사 [환경스페셜-괭이 갈매기 치열한 삶의 진실] / KBS20060927 방송

둥지 밖은 위험해! 괭이갈매기 새끼 잔혹사 [환경스페셜-괭이 갈매기 치열한 삶의 진실] / KBS20060927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o6FUJyv_NIw ▶ 괭이갈매기, 치열한 삶의 진실 인간이 없는 곳에서 나고 자라지만 인간을 찾아와 먹이를 구하는 가깝고도 먼 새, 괭이갈매기. 갈매기의 섬, 독도와 홍도에서 건져낸 괭이갈매기의 生과 死. 1미터 앞에서 지켜본 괭이갈매기의 진기한 번식 과정과 종족간의 이루어지는 끝없는 생존 경쟁, 그리고 자기 가족만을 위하는 처절한 사랑! 인간 곁을 맴돌 수밖에 없는 비운의 바다새 괭이갈매기의 치열한 삶을 전격 해부한다. ▶ 1m 앞에서 본 괭이갈매기의 삶 먹이가 부족한 무인도에서의 탄생은 괭이갈매기들의 치열한 삶을 예..

생태 & 환경 2022.08.30

까마귀떼에 쫒기는 처량한 독수리 신세 [환경스페셜-섬진강 겨울에서 봄으로] / KBS 20100331 방송

까마귀떼에 쫒기는 처량한 독수리 신세 [환경스페셜-섬진강 겨울에서 봄으로] / KBS 20100331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tCSiymSK0QA ▶ 전북 진안군 백운면에서 발원해 전남, 경남을 가로질러 광양으로 흐르는 225km의 섬진강. 지리산을 끼고 흐르는 섬진강은 수달, 삵, 두꺼비, 황어, 원앙, 강굴 등 생태계가 풍부하다. 섬진강에 사는 생명들의 겨울나기와 봄이 오는 모습을 관찰한다. ▶ 섬진강 수달의 겨울나기 섬진강에는 천연기념물 수달이 산다. 구례군을 지나는 섬진강 수달생태보호지구에서 수달이 사냥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2-3월이 교미철인 수달은 야행성이지만 드물게 낮에 물고기 사냥을 하기도 한다. 둑이 만들어지면서 수달을 비롯한 동물들이 새끼..

생태 & 환경 2022.08.26

식물계 공룡 미국 가시박, 한국 농토를 점령하다 [환경스페셜-한반도 외래종의 침입 2부작- 2편 가시박 대습격] / KBS 20091125 방송

식물계 공룡 미국 가시박, 한국 농토를 점령하다 [환경스페셜-한반도 외래종의 침입 2부작- 2편 가시박 대습격] / KBS 20091125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wmAU4IvJYug ▶ 귀화식물이란? 귀화식물이란 원래 나던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져 토착화된 자생식물을 일컫는다. 가시박은 우리나라 고유종이 아니라 미국 등 외국에서 유입된 귀화식물의 일종으로 가시박 이외에도 꽃가루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단풍잎돼지풀, 서양금혼초, 미국 쑥부쟁이 등이 귀화식물로 지정되어 있는데 위 식물들 역시 생태계 교란의 주범으로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귀화식물은 발아력이 강하고 국내 환경에 적응이 빠른 특징을 갖고 있다, 외래식물은 종을 다양화하고 척박한 ..

생태 & 환경 2022.08.22

길이 7미터, 심해의 괴물 대왕오징어 동해에 출현! [환경스페셜-심해탐험, 대왕오징어를 찾아서] / KBS 20061206 방송

길이 7미터, 심해의 괴물 대왕오징어 동해에 출현! [환경스페셜-심해탐험, 대왕오징어를 찾아서] / KBS 20061206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66opD8VC5-8 ▶ 심해 괴물, 대왕오징어... 과연 우리 바다, 동해에 살고 있는 것일까. 2006년 11월 부산 앞바다에서 대왕오징어가 발견됐다. 3월에 이어 두 번째다. 전설 속 심해 괴물로 알려진 대왕오징어. 대왕오징어가 발견되면서 동해의 심해 생태계에 대한 관심 또한 뜨거워지고 있다. 왜 동해에 대왕오징어가 나타나는가? 동해의 심해엔 대왕오징어가 살고 있는 것일까? 제작진은 한국과 일본의 심해전문가들과 함께 동해의 지형 및 해류, 식생 등을 분석해 동해에 대왕오징어가 나타나는 이유를 알아보고, 우리..

생태 & 환경 2022.08.21

중국 꽃매미 대발생, 한반도 나무가 죽어간다 [환경스페셜-한반도 외래종의 침입 2부작- 1편 대발생 꽃매미] / KBS 20091118 방송

중국 꽃매미 대발생, 한반도 나무가 죽어간다 [환경스페셜-한반도 외래종의 침입 2부작- 1편 대발생 꽃매미] / KBS 20091118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6VXhdDYrMaA ▶ 중국 원산지 꽃매미 2006년 국내 피해가 처음 보고된 이후, 꽃매미는 해마다 그 수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미국에서 들어온 가시박은 전국 하천부지의 우리 고유의 식생을 초토화시킨다. 이들은 어떻게 들어와 이처럼 한반도에 번성하게 된 것인가? 2009년 생태계를 가장 교란시킨 동물과 식물의 대표 외래종 꽃매미와 가시박을 환경스페셜에서 집중 조명한다. ▶ 낯선 곤충의 습격, 2009 꽃매미 주의보 2006년 서울을 포함 5개 지역에서 공식적으로 피해발생이 보고된 이후, 200..

생태 & 환경 2022.08.17

전투비행단 vs 철새, 살아있는 미사일 철새를 몰아내라! [환경스페셜 – 철새의 땅, 위기의 천수만] / KBS20090218 방송

전투비행단 vs 철새, 살아있는 미사일 철새를 몰아내라! [환경스페셜 – 철새의 땅, 위기의 천수만] / KBS20090218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CzL3IXKfpO8 ▶ 천수만의 치열한 생존 경쟁 철새들의 천국, 천수만에는 야생의 생존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진다. 겨울 철새들을 위협하는 매, 검독수리, 흰꼬리수리 이들 맹금류로 인해 천수만은 팽팽한 긴장감이 감돈다. 밤낮으로 생명을 위협 받는 철새와 맹금류의 위험한 동거 그리고 갈매기, 백로, 물닭의 뺏고 빼앗기는 처절한 생존경쟁 ▶ 공군 제20전투비행단과 철새의 공존 천수만에 인접한 공군 제20전투비행단은 전략적 요충지다. 조국의 영공을 지키기 위해 24시간 출격대비를 하는 이곳에서는 매일 철새들과 생..

생태 & 환경 2022.08.13

해초먹는 바다 이구아나 [환경스페셜 – 변해야 살아남는다] / KBS 20120321 방송

해초먹는 바다 이구아나 [환경스페셜 – 변해야 살아남는다] / KBS 20120321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tjsf9zGI4A0 ▶ 지구상의 생명체들은 치열한 생존경쟁을 통해 이긴 자만이 살아남고 자손을 후대에 남긴다. 생존경쟁을 위한 전략, 진화. 환경스페셜에서는 살아남기 위한 변신, 진화의 신비를 파헤친다.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특이한 진화의 과정을 보여주는 갈라파고스제도, 아프리카의 외딴섬 마다가스카르와 호주대륙의 생물들. 이들을 통해 진화의 신비와 생명의 경이가 공개된다. ▶ 진화론의 고향, 갈라파고스제도 남미 대륙에서 서쪽으로 960km 떨어진 화산섬, 갈라파고스제도. 찰스 다윈의 진화론이 탄생한 이곳에는 수많은 생명체가 진화를 거듭하며 살아가고..

생태 & 환경 2022.08.09

말벌집을 초토화시키는 '벌매' | 지독한 끌림

제작기간 1년 6개월, 국내 최초 방송!! 말벌집을 초토화시키는 '벌매' | 지독한 끌림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PJ3eWVooTNo&t=11s 그 동안 국내에서 거의 관찰되지 않았던 벌매의 독특한 생존을 담아낸 자연다큐로 1년 6개월 동안 산야를 누비며 촬영했다. 벌매는 다른 수리과의 새들과 달리 주로 땅벌이나 말벌의 둥지를 전문적으로 노리는 벌 사냥꾼이다. 부리는 벌집의 애벌레를 효과적으로 먹을 수 있도록 낚싯바늘처럼 구부러져 있고, 깃털은 갑옷처럼 촘촘하게 이어져 있는 비늘모양이라 독침을 막아내기에 적합하다. 특히 벌매는 개구리 같은 미끼로 유인해 땅벌집을 찾아내는 뛰어난 지능까지 겸비하고 있다. 동남아, 대만 등 주로 아열대 지역에서 월동하는 벌매는 우리..

생태 & 환경 2022.08.05

범고래 하루 식사량: 청어 200마리..? 고래들의 사냥법 | 물고기의 모든 것 (1) #ZDF

범고래 하루 식사량: 청어 200마리..? 고래들의 사냥법 | 물고기의 모든 것 (1) #ZDF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V8b2o-IxlmA ▷ 제목: 물고기의 모든 것(1) ▷ 원제: Something Fishy ▷ 제작사 – Doclights, NDR Naturfilm(독일) ▷ 배급사 – ZDF Enterprises(독일) ▷ 제작년도 – 2020년 ▶ 심의등급 – 없음 ▷ 내용 전 세계 약 3만여 종의 어류는 먹이 사슬 전체를 먹여 살리는 귀중한 식량원이다. 이런 어류의 생애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한 개체로서 이들이 얼마나 치열한 삶을 살아가며 미래 세대를 위해 희생하는지 알게 된다. 물고기는 현재의 삶과 미래의 후손을 위해 다양한 양육 기술과 생존 전략을..

생태 & 환경 2022.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