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 & 환경 566

독 주입하면서 먹이 사냥하는 갈색나무뱀 [환경스페셜-침묵이 섬, 괌 새소리는 어디로 갔나] / KBS 20081001 방송

독 주입하면서 먹이 사냥하는 갈색나무뱀 [환경스페셜-침묵이 섬, 괌 새소리는 어디로 갔나] / KBS 20081001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j4F1fZDc6Lk ▶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문화와 생태계의 고립지, 섬! 특히 태평양의 괌과 같이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섬들은 오랫동안 외부와의 접촉 없이 고립되어, 섬만의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며 진화해 희귀동물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섬의 생태계는 외부의 공격에 대단히 취약하다. 근대화와 전쟁이라는 문명접촉을 통해 유입된 외래종은 괌 고유의 생태계에 치명적인 재앙을 가져오고 있다. 외래종의 침입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는 세계가 당면한 환경문제의 하나다. ▶ 천혜의 섬, 괌 15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서태평양..

생태 & 환경 2022.12.08

한반도를 떠났던 진정한 겨울 손님, 흑두루미 돌아오다 [환경스페셜-흑두루미 돌아오다] / KBS 20130227 방송

한반도를 떠났던 진정한 겨울 손님, 흑두루미 돌아오다 [환경스페셜-흑두루미 돌아오다] / KBS 20130227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cyLHtPzg3vY ▶ 한반도를 떠났던 흑두루미, 다시 돌아오다! 전 세계에 12,000여 마리 만이 존재하는 새 흑두루미. 매년 겨울 대구 달성습지를 찾아왔던 흑두루미는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며 개발의 여파에 밀려 한반도를 떠났다. 그런데 최근 몇 년 새 흑두루미가 다시 돌아오고 있다. 순천만을 찾는 흑두루미의 수가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것. 순천만과 일본의 이즈미, 두 지역 사람들의 자연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과 그동안 알려진 바가 많지 않아 신비로운 새로 불렸던 흑두루미의 생태를 만난다. ◆ 흑두루미, 한반도를 떠..

생태 & 환경 2022.12.03

독도 바다제비 집단 죽음, 무슨 일이 일어났나? [환경스페셜-독도바다제비, 날개를 잃다] / KBS 20081224 방송

독도 바다제비 집단 죽음, 무슨 일이 일어났나? [환경스페셜-독도바다제비, 날개를 잃다] / KBS 20081224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aOGey_YXAKQ ▶ 독도, 새들의 천국인가? 동도와 서도, 두 개의 섬과 60여개의 바위로 이뤄진 독도. 섬 전체가 천연기념물(336호)로 지정된 생태계 보호지역이자, 수많은 새들이 쉬어가는 중간기착지이다. 그런데 최근 몇 년 전부터 독도에서 이상 징후가 발견됐다. 새들이 죽어나가기 시작한 것. 바다제비들의 집단 사체가 발견됐다. 새들의 고향으로 알려진 독도에서 과연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인가? ▶ 바다제비의 고향, 독도 독도에는 한반도 모양을 꼭 닮은 사면이 있다. 일명 한반도 바위로 불리는 곳. 주로 바위..

생태 & 환경 2022.11.28

까치가 울면 1년 농사를 망친다! 유해조수 최고봉 까치와의 전쟁 [환경스페셜-유해조수라는 이름] / KBS 20001122 방송

까치가 울면 1년 농사를 망친다! 유해조수 최고봉 까치와의 전쟁 [환경스페셜-유해조수라는 이름] / KBS 20001122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gn1OGMRDIZc ▶ 멧돼지, 까치, 꿩, 멧비둘기, 청설모. 그들의 또 다른 이름은 "유해조수" - 잘 가꿔 놓은 사과 농사를 망치는 까치, 수확을 앞둔 논에 들어가 벼를 뭉개고 나락을 훑어먹는 멧돼지 등 최근 몇 년 사이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가 부쩍 늘면서 유해조수의 범주도 점점 넓어질 전망이다 - 예전엔 사람들에게 행운을 가져다주는 존재로 여겨졌던 까치, 청렴과 우아함의 상징이었던 백로, 그러나 이제 사람들은 이들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인간이 그들에게 붙인 이름 "유해조수". - 사람들은 농민피해의 여론..

생태 & 환경 2022.11.23

수달 vs 너구리 치열한 먹이 쟁탈전, 과연 최후 승자는? [환경스페셜-생명을 꿈꾸는 도시 하천, 유등천] / KBS 20070502 방송

수달 vs 너구리 치열한 먹이 쟁탈전, 과연 최후 승자는? [환경스페셜-생명을 꿈꾸는 도시 하천, 유등천] / KBS 20070502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Fn84Xmnluos ▶ 금강의 지류로 갑천과 함께 대전시를 관통하는 ‘유등천’을 주목하라. 국내 어디에도 이런 도시 하천은 없었다 ! 도시 속 생명수인 하천을 따라 펼쳐진 환경스페셜 3년간의 생명 탐험! 수달을 비롯한 3종의 천연기념물, 2종의 멸종 위기종이 서식하는 희귀종의 보고이자, 20여 종의 야생동물들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도시 속 야생 천국. 인간의 터전 속에 영역을 확보한 그들의 도시 하천 적응 비결은 무엇일까! ▶ 2002년 5월, 대전 남부순환고속도로에서 발생한 천연기념물 330호 수달 ..

생태 & 환경 2022.11.18

칼이 춤추듯, 날선 갈치떼 멸치 사냥 [환경스페셜-2008 바다, 무슨 일이 생기고 있나] / KBS 20081203 방송

칼이 춤추듯, 날선 갈치떼 멸치 사냥 [환경스페셜-2008 바다, 무슨 일이 생기고 있나] / KBS 20081203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oyZaH7Sk0wc ▶ 한반도 바다의 수온이 높아지면서 제주와 남해에 참다랑어, 돛새치 등 온대 및 아열대 물고기들이 몰려들고 있다. 명태, 대구와 같은 한대성 어종은 사라져가고, 서해에서는 오징어가 잡히고, 동해에서는 여러 열대어종이 발견되는 등 바다의 변화가 심상치 않다. 그 현장을 찾아 바다에서 진행되고 있는 온난화의 현실을 짚어보고, 바다 생태계의 변화를 살펴본다. 과거 40년간 해수온도 1도 상승으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면 앞으로 3~5도의 기온상승으로 인한 영향은 어떻게 될 것인가? 온난화되어가는 바다 ..

생태 & 환경 2022.11.13

희귀 동물의 보고, 타즈매니아에 ‘악마’가 산다. [환경스페셜-주머니가 키운 생명-유대 동물의 땅, 타즈매니아] / KBS 20061220 방송

희귀 동물의 보고, 타즈매니아에 ‘악마’가 산다. [환경스페셜-주머니가 키운 생명-유대 동물의 땅, 타즈매니아] / KBS 20061220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3e3IZIvyk_o ▶ 고립된 ‘섬’ 생태계가 만든 진화의 땅, 타즈매니아 주머니로 새끼를 키우는 유대동물들의 낙원이자 데블, 이스턴퀄 등 육식유대동물의 마지막 서식지! 이곳에 치사율 100%의 데블 전염병이 창궐했다! 타즈마니안데블, 멸종할 것인가! ▶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에서 남동쪽으로 약 200km 떨어진 섬 타즈매니아. 이곳은 본토에서도 이미 멸종된 이스턴퀄, 데블 등 육식유대동물이 생존해 있는 유대동물의 마지막 서식지이다. 육아 주머니를 통해 새끼를 키우는 유대동물은, 중생대 태반포유동물..

생태 & 환경 2022.11.08

우리나라에도 아마존이 있다. 겨울에도 푸른 숲, 제주 곶자왈 [환경스페셜-겨울에도 푸른 숲, 제주 곶자왈] / KBS 20040317 방송

우리나라에도 아마존이 있다. 겨울에도 푸른 숲, 제주 곶자왈 [환경스페셜-겨울에도 푸른 숲, 제주 곶자왈] / KBS 20040317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k2PzBzhm0Xk ▶ 바위위에 뿌리내린 숲. 곶자왈 화산의 땅 곶자왈은 한겨울에도 뜨겁다. 국내 최초. 곶자왈의 신비를 밝힌다. ▶ 돌무더기 거대한 숲, 곶자왈. 한라산 600고지 곶자왈이 있다. 곶자왈은 제주도 방언으로 ‘돌밭위에 형성된 숲’이란 뜻이다. 화산폭발로 생긴 화산암위에 숲이 형성된 것이다. 곶자왈의 바위는 토양못지 않게 식물에 수분을 공급한다. 바위의 공극 사이로 빗물을 100% 흡수하기 때문이다. 천량금은 곶자왈에서 서식하는 대표적 희귀종. 우리나라 양치식물의 80%가 곶자왈에 서식..

생태 & 환경 2022.11.03

우리는 지금, 5번째 빙하기에 살고 있다 [사이언스21 - 지구대멸종 3부 : 제 5 빙하기의 경고] / KBS 20040129 방송

우리는 지금, 5번째 빙하기에 살고 있다 [사이언스21 - 지구대멸종 3부 : 제 5 빙하기의 경고] / KBS 20040129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khX_XkBdecA ▶ 우린 지금 다섯 번째 빙하기에 살고 있다. 양극지방에서 빙하를 볼 수 있고, 고산지대에 빙하가 남아있는 오늘날의 빙하기. 빙하기속에서 겪는 온난화는 무엇을 의미하나? 빙하를 녹여 온 지구가 물난리를 겪게 될 것인가, 아니면, 급격한 빙하기를 맞을 것인가? 학자들은 이 둘 모두를 우려한다. 이 프로그램에선 제 5 빙하기에 급격한 기후변화가 경고하는 멸종의 메시지를 다룬다. ▶ 맘모스, 세이버투스, 검치 호랑이... 1만 3천년전, 그들이 사라졌다. 맘모스, 세이버투스, 검치호랑이와 같..

생태 & 환경 2022.10.29

공룡은 멸종하지 않았다 [사이언스21 - 지구대멸종 3부작 : 2부 공룡, 새로 살아남다] / KBS 20040128 방송

공룡은 멸종하지 않았다 [사이언스21 - 지구대멸종 3부작 : 2부 공룡, 새로 살아남다] / KBS 20040128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3pREsVpxygs ▶ 공룡이 새(鳥)로 진화했다는 증거가 되는 깃털 공룡. 중화용조가 발견되었다. 공룡의 어떤 점이 새와 비슷한 것일까. 2부 에서는 깃털 공룡이 발견된 중국 요녕성 북표시를 찾아가, 깃털공룡을 직접 취재해 보았다. 이와 함께 영원한 미스테리인, 공룡 멸종의 비밀을 다시한 번 되짚어 본다. ▶ 정말 공룡은 멸종하였나? 약 1억 5천만년 이상 육지를 지배했던 생명체, 공룡. 그러나 공룡의 멸종을 둘러싼 원인은 아직도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그중 가장 유력한 설은 약 6천 5백만년전 어느날, 현재 멕시코..

생태 & 환경 2022.10.24

10만마리 대이동 바다제비, 가거도 생활기 [환경스페셜-특별기획 2부작 섬은 살아있다. 2편 가거도, 바다제비를 품다] / KBS 20110831 방송

10만마리 대이동 바다제비, 가거도 생활기 [환경스페셜-특별기획 2부작 섬은 살아있다. 2편 가거도, 바다제비를 품다] / KBS 20110831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MMhPmZdD7Qw ▶ 목포에서 136킬로미터, 배로 4시간 거리에 대한민국 최서남단 섬인 가거도가 있다. 가거도는 서해상의 관문으로 철새들이 쉬어가는 길목에 자리 잡고 있다. 100종이 넘는 철새들이 주로 봄과 가을에 이곳에 들러 쉬어가거나 번식을 하고 떠난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철새를 비롯한 조류와 다양한 어류들의 보고인 가거도의 여름철 생태를 보여주고, 자연에 순응해 살아가는 소박한 섬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공존의 중요성을 말하고자 한다.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 동남아나 중국 동부해안..

생태 & 환경 2022.10.19

보름달이 뜨면 빙어가 많이 잡힌다. 그 이유는? [환경스페셜-호수에 갖힌 빙어, 바다를 꿈꾸다] /KBS 20040324 방송

보름달이 뜨면 빙어가 많이 잡힌다. 그 이유는? [환경스페셜-호수에 갖힌 빙어, 바다를 꿈꾸다] /KBS 20040324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sTYORzz9fP0 ▶ 최초공개! 소양호 빙어는 바다에서 왔다. 80년 동안 호수에 갇힌 빙어의 불안한 운명! 호수에 사는 민물고기로 잘 알려진 빙어. 그런데 빙어는 바다와 강을 오가는 회귀어종이고, 원래 호수에는 빙어가 살지 않았다. 우리나라 내륙 호수마다 빙어가 살게 된 사연은 무엇일까? 바다빙어와 호수빙어의 비밀을 밝힌다! 바다에서 강으로 향하는 빙어의 회귀행렬! 알려지지 않았던 빙어의 생태와 산란과정을 최초공개한다! ▶ 겨울 호수의 주인. 빙어 모든 자연이 동면에 들어간 겨울 소양호. 고요한 겨울 호수의 ..

생태 & 환경 2022.10.14

느려서 신비롭다! 겁많은 나무늘보의 하루 [환경스페셜-운하가 만든 야생천국 바로콜로라도] / KBS 20060719 방송

느려서 신비롭다! 겁많은 나무늘보의 하루 [환경스페셜-운하가 만든 야생천국 바로콜로라도] / KBS 20060719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4asfazaVTOc ▶ 파나마 운하가 만든 야생 천국 미국 스미소니안 열대 연구소의 철저한 통제 하에 있던 야생 동식물의 보고, 바로콜로라도섬... KBS에서 HD고화질 영상으로 공개한다!!! ▶ 파나마 운하가 만들어 준 선물, 바로콜로라도섬 바로콜로라도섬은 전 세계 동식물 학자들이 가장 동경하는 섬으로 자연 동식물 연구의 메카이다. 파나마 운하를 만들면서 생긴 이 섬은 언덕이었던 ‘바로’에 물이 차면서 각종 동물이 정상 부위로 몰려 지구상에서 열대 동식물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 되었다. 미국 스미소니안의 특별 허가..

생태 & 환경 2022.10.10

천천히, 한입 한입, 다람쥐 포식하는 구렁이 [환경스페셜-국립공원 생명의 씨앗이 되다] / KBS 20101006 방송

천천히, 한입 한입, 다람쥐 포식하는 구렁이 [환경스페셜-국립공원 생명의 씨앗이 되다] / KBS 20101006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B0SqEFewgmY ▶ 1967년 지리산이 최초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이래 우리나라에는 모두 20개의 국립공원이 생겼다. 그 면적은 전체 국토 면적의 6.6%에 불과하지만 동물종의 60%, 식물종의 76.6%가 이곳에 서식하고 있다. ‘국립공원, 생명 복원을 꿈꾸다’에서는 단순한 관광지로 여겨졌던 국립공원의 희귀한 야생동물과 다양한 생태를 뛰어난 촬영기법과 영상미로 담아 생명체의 보고로 거듭나고 있는 현장을 소개한다. ▶ 사라져버린 생명의 복원현장, 국립공원 우리 땅 국립공원이 6.25전쟁 이후 불과 60년 만에 생명을..

생태 & 환경 2022.10.04

20m 잠수, 민물가마우지 물고기 사냥 [환경스페셜-팔당호 족자섬에는 가마우지가 산다] / KBS 20090722 방송

20m 잠수, 민물가마우지 물고기 사냥 [환경스페셜-팔당호 족자섬에는 가마우지가 산다] / KBS 20090722 방송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ZuHXhcvfpM4 ▶ 팔당호 족자섬, 민물가마우지 번식지 최초 공개 수도권 2400만 명의 식수원인 팔당호에는 작은 섬이 몇 개 있다. 그 가운데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쳐지는 양수리(두물머리) 앞에 있는 족자섬은 18세기 겸재 정선의 그림에도 등장할 만큼 유명한 섬이다. 이 섬에 민물가마우지들이 둥지를 만들고 번식하고 있는 것이 발견됐다. 잠수를 잘해 ‘물고기 사냥꾼’이라고 부르는 민물가마우지. 그동안 서해안 섬이나 한강 하구에서 번식지가 발견됐지만 한강 상류에서 번식지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무인도로 사람의 왕래가 ..

생태 & 환경 2022.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