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 & 환경 566

낮과 밤, 숲의 주인이 바뀌다! 환경스페셜 ‘숲의 지배자’

낮과 밤, 숲의 주인이 바뀌다! 환경스페셜 ‘숲의 지배자’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XSdJa5k5rm8 ▶ ‘숲의 지배자’를 찾아서 한반도의 숲을 호령하는 맹금류 참매. 참매는 바닷가 절벽에 사는 ‘매’(송골매)와 달리 숲속 높은 나무에 둥지를 틀고 번식하는 수리과의 맹금류이다. 과거에는 참매를 길들여 ‘매사냥’에 이용하는 등 우리와 친숙한 맹금류였지만, 숲 생태계가 파괴되면서 참매는 점차 보기 힘들어졌다. 환경스페셜은 방송 최초로 베일에 가려져 있는 참매의 번식생태를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낮의 숲을 지배하는 참매와 밤의 숲을 지배하는 올빼미. 한반도의 대표적인 맹금류 참매와 올빼미의 서로 다른 생존법, 그 비밀은 무엇일까? ▶ 최초 공개! 참매의 번식 2008..

생태 & 환경 2021.12.31

가로림만 갯벌 생태 위협하는 조력발전소! 환경스페셜 ‘가로림만의 두 갈래 길’

가로림만 갯벌 생태 위협하는 조력발전소! 환경스페셜 ‘가로림만의 두 갈래 길’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jeaymTyw3bY ▶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로 손꼽히는 서해안 갯벌. 1970년대 이후 이어진 계속된 개발로 충청남도 갯벌의 약 40%가 사라지고, 가로림만 갯벌만이 거의 유일하게 자연 상태로 남았다. 그리고 이곳에 천연기념물 제331호이자 멸종위기종 2급인 잔점박이 물범이 찾아왔다. 환경스페셜은 잔점박이 물범을 불러들인 서식지로서의 가로림만 갯벌의 가치와 그 소중함을 재확인해본다. ▶ 지속가능한 생태계의 유산, 가로림만 갯벌 충남 태안군과 서산시 사이에 위치한 가로림만 갯벌은 2005년 국내 갯벌 중 보존 상태가 가장 양호하다는 판정을 받았으며, 2007..

생태 & 환경 2021.12.27

안데스의 천둥새 콘도르! 환경스페셜 ‘태양과 얼음의 전장 안데스’

안데스의 천둥새 콘도르! 환경스페셜 ‘태양과 얼음의 전장 안데스’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VopXP-ilFVU ▶ 태양과 가장 가까이 맞닿은 곳에서 혹한의 추위를 만나다. 열대와 냉대의 기후가 공존하는 적도의 패러독스, 에콰도르. 이곳에서 생존하기 위한 동식물 진화의 신비가 베일을 벗는다. 적도의 땅 안데스에서 찾아낸 대자연과 생명의 경이로움, 그리고 그 속에서 끊임없이 이어지는 생명체의 삶을 향한 투쟁! ▶ 적도의 패러독스 - 상상 뛰어넘는 적도의 두 얼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맥 중 하나로 꼽히는 안데스. 그 중 에콰도르의 침보라소는 지구 중심에서의 높이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해발 6,310m로 적도선상 중 태양과의 거리도 제일 가깝지만 기온은 매우..

생태 & 환경 2021.12.21

코코넛을 집으로! 환경스페셜 ‘적도의 바다’

코코넛을 집으로! 환경스페셜 ‘적도의 바다’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6Rp7iSJkSTc&t=9s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의 부나켄 해양국립공원과 렘베해협은 지상 최대의 해양생물 종다양성을 자랑한다. 때문에 해양생태 촬영가들이 첫 번째로 꼽는 촬영지이기도 하다. 술라웨시의 코발트 물빛과 수중 정원. 황량한 모래밭에서 펼쳐지는 기상천외한 위장과 변장. 최상위 포식자 라이온피시를 사냥하는 씬뱅이와 갑오징어. 온 몸에 문신을 한 만다린피시의 혼인의식 등 열대바다의 생태가 눈앞에 펼쳐진다. ▶ 화산재의 기적, 위장과 변장 화산 폭발로 생겨난 렘베섬 일대 해역은 대부분이 모래지대이다. 오랜 기간 은신처가 없는 모래지대에서 살아온 각종 해양생물들의 기상천외한 위장과 변장(..

생태 & 환경 2021.12.17

생명의 보고 ‘독도’! 환경스페셜 ‘독도는 살아있다’

생명의 보고 ‘독도’! 환경스페셜 ‘독도는 살아있다’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S8dkEhnRefU ▶ 약 450만 년에서 250만 년 전 해저지각 활동으로 솟구친 용암이 굳어지면서 생긴 거대한 바닷속 산 독도. 해발 2천 미터가 넘는 이 해중산 가운데 극히 일부만이 수면 위로 나와 있기 때문에 섬처럼 보인다. 이 해중산에 해류가 부딪치고 거센 바람과 파도 덕분에 플랑크톤이 풍부해 독도의 어류자원은 풍부하다. 이와 같은 바다 환경 덕분에 독도는 새들의 천국이기도 하다. 매년 5월이면 괭이갈매기들이 독도에 와서 짝짓기를 하고 산란을 한다. 철새들도 독도를 중간기착지로 삼아 지친 몸을 쉬어간다. 독도는 소중한 우리 땅인 동시에 무수한 생명체들의 안식처이다. ※ 이 영..

생태 & 환경 2021.12.13

슈퍼피쉬 5부 “슈퍼피쉬 다이어리”_전세계의 강과 바다를 누빈 슈퍼피쉬 제작진의 장대한 여정의 기록

슈퍼피쉬 5부 “슈퍼피쉬 다이어리”_전세계의 강과 바다를 누빈 슈퍼피쉬 제작진의 장대한 여정의 기록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75ItSrNSCvM KBS 글로벌 대기획 - 슈퍼피쉬 5부 “슈퍼피쉬 다이어리” (2012.09.01 방송) 드넓은 강과 푸른 대양을 오가던 물고기들의 죽음과 운명 뒤에 감춰진 수만 년의 이야기를 들려주기 위해 시작한 여정- 물고기 사냥의 긴장과 흥분, 감동을 고스란히 전하기 위해 전 세계 24개국에서 아름다운 자연과 낯설고 경이로운 풍경들을 독창적으로 담아냈다. 찰나의 물고기 잡이를 스펙터클한 영상으로 승화시킨 HD 수중초고속촬영, 스틸카메라 60대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정지입체동영상 타임슬라이스(Time-Slice), 케이블캠(Calbe..

생태 & 환경 2021.12.08

슈퍼피쉬 4부 “금요일의 물고기”_유럽의 생선 수요를 촉발시킨 기독교- 양어 기술 발달과 신대륙의 발견까지!

슈퍼피쉬 4부 “금요일의 물고기”_유럽의 생선 수요를 촉발시킨 기독교- 양어 기술 발달과 신대륙의 발견까지!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kHVeL7W5AZ0 KBS 글로벌 대기획 - 슈퍼피쉬 4부 “금요일의 물고기” (2012.08.26 방송)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힌 성금요일. 이날은 1년 중 스페인 전역에서 대구 소비가 가장 많은 날이다. 여기에는 오래된 비밀이 한 가지 숨어있다. 수도사는 물론 일반인들 역시 속죄와 참회의 뜻으로 고기 대신 생선을 먹어야 하기 때문이다. 4세기경부터 시작된 금요일의 어식문화는 전 유럽에 걸쳐 엄청난 생선수요를 만들었고 이후 양어기술과 어업의 발달, 그리고 신대륙의 발견까지 가져왔다는데... 2천 년 유럽의 역사에 지울 수 없..

생태 & 환경 2021.12.04

슈퍼피쉬 3부 스시 오디세이_ 아시아의 ‘썩은 물고기’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기까지! 쌀과 물고기의 맛있는 변신, 스시

슈퍼피쉬 3부 스시 오디세이_ 아시아의 ‘썩은 물고기’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기까지! 쌀과 물고기의 맛있는 변신, 스시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APWn3WRr5YA KBS 글로벌 대기획 - 슈퍼피쉬 3부 “스시 오디세이” (2012.08.25 방송) 간을 맞춘 쌀밥 위에 동그랗게 얹어진 신선한 생선살. ‘스시’만큼 미스터리하고 변화무쌍한 음식은 없다. 수천 년 전, 세계에서 가장 역겨운 냄새가 나던 아시아의 썩은 물고기가 오늘날 세계인이 사랑하는 패스트푸드로 탈바꿈한 데는 어떤 비밀이 숨어있을까? 한 조각 스시를 따라가는 2천 년의 긴 시간 여행- 그 속에서 아시아 농경문화의 비밀과 물고기를 향한 인간의 무한한 욕망을 만나보자!

생태 & 환경 2021.11.30

기후변화 특별기획 4부 기후혁명|붉은 지구 최종화! 웨더노믹스의 시대, 탄소 중립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기후변화 특별기획 4부 기후혁명|붉은 지구 최종화! 웨더노믹스의 시대, 탄소 중립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XYEjbD3rf78&t=0s ■최첨단 IT기업도 예측 못 한 이상기후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예측 불가능한 기상이변이 전 세계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 2월, 한겨울에도 영상 10도를 유지하던 텍사스에 30년 만에 기록적인 한파가 닥쳤다. 그로 인해, 오스틴 반도체 주요 공장인 삼성전자는 셧다운 되며 약 4,000억 원의 피해를 입었다. 또, 타이완에는 56년 만에 가뭄이 찾아와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 TSMC가 물 부족으로 어려움을 토해냈다. 물은 반도체 칩을 만드는데 주요 자원이다. 하지만 가뭄으로 인해 물이 부족하니 공..

생태 & 환경 2021.11.26

기후위기 특별기획 4부작 붉은 지구 3부 구상나무의 경고|사라지고 난 뒤에야 보이는 것들. 폭염으로 죽어가는 한반도 자생종의 다잉 메세지

기후위기 특별기획 4부작 붉은 지구 3부 구상나무의 경고|사라지고 난 뒤에야 보이는 것들. 폭염으로 죽어가는 한반도 자생종의 다잉 메세지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I5eX3Bh6uc4&t=0s 기후위기 특별기획 4부작 붉은 지구 - 3부 구상나무의 경고 ■ 한라산을 덮친 구상나무 떼죽음 앞에 보이는 것은 올해 쓰러진 구상나무들의 모습이고요 주변에 있는 나무들도 최근 1-2년 사이에 죽은 구상나무들입니다 최근 10년 동안 계속해서 죽어가는 나무들이 출현하면서 피해 규모는 더 커지는 현상을 볼 수 있는 지역입니다 고정군 박사/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 구상나무 세계 최대 집단 군락지인 한라산에 구상나무가 집단 고사한 현장은 처참함 그 자체다. 구상나무는 서늘한 곳에서 ..

생태 & 환경 2021.11.22

기후변화 특별기획 붉은 지구 2부 침묵의 바다|제주도 바다가 죽어가고 있다. 사라지는 기존 해양생태계

기후변화 특별기획 붉은 지구 2부 침묵의 바다|제주도 바다가 죽어가고 있다. 사라지는 기존 해양생태계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Z9F_o51B6Rs&t=0s 기후위기 특별기획 4부작 붉은 지구 - 2부 침묵의 바다 대한민국 온난화 속도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나라 중 하나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며 백 년간 온도상승이 지구 평균온도 상승보다 훨씬 높은 1.8℃에 이른다. 기후변화로 인해 육지는 물론이고 바다의 수온도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다. 아열대와 온대의 경계에 위치한 제주도는 한반도 기후 위기의 최전선이다. 연구에 따르면 제주 주변 해역의 수온은 지난 36년 동안 2도가량 올랐다. 수온 상승이 가져온 제주 바닷속은 어떤 변화를 겪고 있을까..

생태 & 환경 2021.11.17

야생여정|신록 예찬 교정의 나무

야생여정|신록 예찬 교정의 나무 (클릭):https://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18-0252&program_id=PS-2019063239-01-000&broadcast_complete_yn=Y&local_station_code=00&section_code=05&section_sub_code=08 야생여정 - KBS VOD 페이지 vod.kbs.co.kr [신록 예찬 교정의 나무] 회색에서 초록으로 숲의 대변신이 주는 경이와 신록에서 비롯된 생태계의 신비를 살펴본다.

생태 & 환경 2021.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