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차원의 무관심은 죄의 구조를 견고히 하게 된다
스토킹 피해자의 절박한 상황
안이하게 여기는 사회적 무관심
반복적 범죄 일어날 가능성 커
누군가의 어려움에 관심 가져야
(클릭):https://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373633¶ms=page%3D1%26acid%3D11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 - 세상의 빛] 186. 복음과 사회교리 (「간추린 사회교리」 566항)
기도는 어떻게 하는 것일까? 바로 자신의 요청, 제 뜻대로 하고 싶은 마음, 자신의 바람 등을 내려놓고 하느님이 우리에게 말씀하시는 계획에 동의하는 것이...
www.catholictimes.org
'교리 옹달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 - 세상의 빛|188. 복음과 사회교리 (「간추린 사회교리」 410항) (0) | 2022.10.13 |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 - 세상의 빛|187. 복음과 사회교리 (「간추린 사회교리」 205항) (0) | 2022.10.05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 - 세상의 빛|185. 복음과 사회교리 (「간추린 사회교리」 193항) (0) | 2022.09.21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 - 세상의 빛|184. 복음과 사회교리 (「간추린 사회교리」 481항) (0) | 2022.09.07 |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 - 세상의 빛|183. 복음과 사회교리(「간추린 사회교리」 459항) (0) | 2022.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