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어 있음
박근범 레오 신부님(도시빈민사목 담당)
매 순간 깨어 있음은 참된 삶을 향해 나아갑니다. 우 리는 자신이 무슨 생각을 하고 무엇을 하며 사는지 자 각하지 못하면 불행하게 됩니다. 깨어 있는 사람만이 제대로 살 수 있으며, 자기 분수를 헤아려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깨어 있다는 사실은 사물을 객 관적으로 보고 내 마음에서 일어나는 감정에 대해 알 아차리는 것입니다.
기도가 목표하는 바는 궁극적으로 깨어 있는 삶을 살기 위함입니다. 오늘 복음의 핵심 역시 ‘깨어 있어라’ 입니다. “너희는 허리에 띠를 매고 등불을 켜 놓고 있 어라.”(루카 12,35) 늘 준비하고 깨어 있는 삶의 자세는 그리스도 신앙인이 지녀야 하는 덕목입니다. 깨어 있 음은 언제나 새로움을 줍니다. 깨어 있음의 중심에는 주님께서 계십니다. 하느님의 현존은 깨어 있음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모든 문제는 깨어 있지 못함에서 기인합니다. ‘깨어 있어라’입니다
자신의 삶의 자리에서 깨어 있는 이들이 살아 있는 사람이라고 여기지 않겠습니까. 깨어 있지 않으면 쉽 게 악의 유혹에 빠집니다. 막연하게 잠을 안 자고 참고 견디는 것이 아니라, 변함없이 주님을 사랑하는 마음 을 지니고 작은 일에도 충실히 살아갈 때 비로소 깨어 있지 않을까요? “행복하여라, 주인이 와서 볼 때에 깨 어 있는 종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그 주인 은 띠를 매고 그들을 식탁에 앉게 한 다음, 그들 곁으 로 가서 시중을 들 것이다. 주인이 밤중에 오든 새벽에 오든 종들의 그러한 모습을 보게 되면, 그 종들은 행 복하다!”(루카 12,37-38) 깨어 기다리는 우리의 기도 속 에 주님께서 함께 하신다는 현실이 얼마나 기쁩니까? 주님을 기다리는 깨어 있음의 행복을 잊지 않았으면 합니다.
우리가 왜 깨어 있는 삶이 필요한지 제2독서 야고보 서간에서 뚜렷이 배울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내일 일 을 알지 못합니다. 여러분의 생명이 무엇입니까? 여러 분은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져 버리는 한 줄기 연기일 따름입니다.”(야고 4,14)
올 한 해 하느님의 은총과 진리로 깨어 있는 삶을 살 아가시기를 기원합니다.
'사제의 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러분은 부족하지 않습니다 | 박현웅 미카엘 신부님(평화동성당) (0) | 2025.02.01 |
---|---|
청(소)년들을 향한 그리스도의 교회의 변함없는 사랑 – 교회와 청(소)년(I) | 박상일 대건 안드레아 신부님(2027 서울 세계청년대 (0) | 2025.01.31 |
말씀 안에 현존하시는 주님 | 안승태 요셉 신부님(창5동성당 주임) (0) | 2025.01.29 |
“주님의 은혜로운 해” | 최요왕 사도 요한 신부님_아르헨티나 교포사목 (0) | 2025.01.27 |
모르는 게 아니다 | 겸손기도 마진우 요셉 신부님(초전성당 주임) (0)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