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간 소통

누룩 | ‘내던져진 존재’들에게 부치는 가을 편지

松竹/김철이 2024. 11. 23. 09:45

‘내던져진 존재’들에게 부치는 가을 편지

 

 

‘세상에 내던져진 존재’. 독일 철학자 하이데거는 인 간을 가리켜 이렇게 말했습니다. 자신의 의지와는 무 관하게 지금의 내가 처한 시대와 환경과 상황 속으로 ‘내던져짐을 당한 존재’, 그것이 인간이라고 말입니다. 그래서 누군가는 날 때부터 훌륭한 인격의 부모에게 서 금수저로 태어나고, 또 누군가는 부모에게조차 버 림받은 채 하루 끼니를 걱정하며 살아야 하는 운명으 로 태어나는가 봅니다. 하늘에서 내던진 씨앗이 싹을 틔우기에 딱 알맞은 옥토에 떨어지기도 하고, 가시를 피우지 않고는 살아남을 수 없는 사막 한가운데 떨어 지기도 합니다. 그러니 자갈밭의 결핍과 갈증 속에서 온통 가시로 뒤덮인 꽃을 피운 엉겅퀴를 누가 탓할 수 있겠습니까. “누군가를 비판하고 싶을 때면, 세상 모 든 사람이 다 네가 갖고 있는 것을 누리고 있진 않다는 것을 기억해라.”라는 닉 캐러웨이 아버지의 조언을 가 슴에 새겨야 하는 이유입니다.

 

나보다 더 거친 세상에 ‘내던져진’ 한 젊은이가 있었 습니다. 그런데도 그는 자신이 던져진 밭을 원망하기 보다는, 엉겅퀴 같은 생명력으로 열심히 물을 찾아내 고 싹을 밀어 올렸습니다. 그리고 거칠면서도 아름다 운 꽃을 피워내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그는 너무 많은 기력을 소모했나 봅니다. 그의 삶의 시 간이 비록 우리보다 짧지만 결코 짧았다고만은 말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그의 시간은 우리가 여유롭게 보 내던 시간에도 빠르게 흘러갔을 테니까요. 누군가의 삶과 죽음을 하나의 잣대로 평가하거나 비판하지 말 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가을이 아름다운 것은 봄과 여름의 찬란했던 생명이 최고의 순간을 발하기 때문입니다. 이 찬란한 잎들은 또 다른 생명을 위해 대지의 양분이 될 운명을 겸허히 받아들일 것입니다. 가을의 형형색색은 죽음을 목전 에 둔 자연의 눈부신 아름다움이라는 점에서 아이러 니합니다. 이것은 곧 인간의 숙명이기도 합니다. 하느 님의 나라에서의 영원한 삶과는 달리, 인간은 죽음의 한계를 지닌 존재입니다. 그래서 우리의 삶은 찬란해 야 합니다. 이것이 불멸의 하느님께서 필멸의 인간에 게 주신 기회이자 선물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다양하 게 던져줄 테니, 한 번 색다르게 살아보고 오거라.”

 

그러니 지금 내가 던져진 곳이 어떠하든 겸허히, 또 는 인내심 있게 살아내 봅시다. 나와는 다른 곳에 던져 진 씨앗들을 부러워하거나 비판하지도 말고요. 창문 넘어 도망친 백세 노인이 말하듯, ‘진득하게 살다 보면 어차피 죽을 건데’, 나도 남도 너무 미워하지 말고 조 금 더 선하고 후회 없이 진득하게 살아야겠습니다. 그 리고 이생을 다하는 날, ‘그 고귀한 존재를 흙 속에서 찾지 맙시다.’ ‘어차피 이 세상 모든 것은 죽어야 하고, 그러면 자연을 지나 하느님의 나라로 간다는 것’을 우 리는 알고 있으니 말입니다.

 

이 가을, 세상을 떠난 모든 이들과 지금을 살아내는 모든 형제자매를 위해 기도합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