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딸을 봉헌합니다
저는 젊은 시절부터 오랫동안 본당의 성소후원회를 담당했습니다. 복사단 을 인솔해 서울신학교, 수원신학교, 수도회, 수녀회 등을 방문하며, 사제 또는 수도자가 되라고 독려해 왔습니다. 그런 제게 어느 날 딸이 다가와 대 학을 졸업하자마자 수녀원에 입회하겠다는 청천벽력 같은 소리를 전했습니 다. 저는 듣자마자 반대부터 했습니다. 사랑하는 딸이 내 품을 완전히 떠날 것 같은 두려움일 수도, 미대를 나와 멋진 작가가 되겠거니 하던 기대가 사라 지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어쩌면 신자로서 느끼는 성소의 기쁨보다는 꽃 다운 나이에 주님을 위해 봉헌하는 딸의 삶이 얼마나 외롭고 힘들지, 부모 로서 막연한 걱정이 더 앞서서일 겁니다.
얼마 후 수녀님 두 분이 가정방문을 오셨습니다. 그분들의 표정을 보니 얼 마나 밝고 행복해 보이는지, 따뜻한 대화를 나누면서 제 마음이 눈 녹듯이 사르르 녹았습니다. 기도 끝에 딸을 부둥켜안고 한참을 울고 나서 승낙하 였습니다. 딸이 수녀원 입회를 한 후에도 보고 싶은 마음에 굳게 닫힌 수녀 원 앞을 몇 날 며칠 서성거리기도 하고 딸을 한 번이라도 더 보려고 수녀원 행사에 열심히 참석했던 일들이 주마등처럼 스쳐 갑니다.
어느덧 딸이 수녀원에 입회한 지 강산이 2번 바뀌어 20년이란 세월이 지났습니 다. 제 딸이 부모 밑에 있던 시간보다 이제 주님께 봉헌한 수도 생활의 햇수 가 더 많아져 갑니다. 맡은 소임을 충실히 잘하고 있고 가정방문 오셨던 수녀 님들처럼 밝고 행복해 보이는 수녀님을 뵐 때마다 그저 감사할 따름입니다.
재작년 저는 암으로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습니다. 수녀님이 일주일간 휴가를 내어 간병하며, “아빠! 내가 간병하니 좋지! 봐! 내가 결혼했으면 딸린 식구에 내가 아빠를 얼마나 챙겨주겠어?”라는 말에, 제가 허허 웃으며, “그래 맞아, 우리 딸이 최고지!” 했지요.
나이 든 제게 이제 바람이 있다면, 오직 우리 수녀님의 건강입니다. 10번이나 수 술했는데도 완치가 되지 않아 오늘도 저는 “주님! 소미 마리아 수녀의 손과 발을 낫게 해주셔서 당신의 도구로 써 주십시오. 아멘.”이라고 기도합니다.
우리 수녀님! 사랑합니다.
저를 봉헌합니다
김 소미 마리아 수녀님, 노틀담수녀회
어릴 적부터 수녀님이 되고 싶었던 제가 노틀담수녀회에 입회를 한 지도 벌써 21년이 되었습니다. 대학 졸업 작품을 만들면서 ‘주님께서 나를 부르고 계신다’는 확신이 섰습니다. ‘내가 만든 작품이 나에게 이렇게 소중한데, 나를 만드신 주님께서는 얼마나 나를 소중히 여기 실까?’라는 생각이 계속 들었습니다. 부모님께 '이미 수녀원에서 입 회 허가를 받았고, 졸업을 하면 바로 입회하겠다'라고 말씀드렸습니 다. 그토록 성당 일도 열심히 하시고, 성소후원회에서 남들의 성소를 축복해 주시던 부모님이라 저에게도 당연히 그렇게 해주실 거라 믿 었지만, 오히려 반대하셨습니다. 본인들도 살아보지 못한 길이라 살 다 보면 힘든 일이 생길 텐데, 전혀 도와 주실 수 없다는 부모님 말씀 에 한참을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기도 후에 이렇게 말씀드렸죠. “부모님께서 저와 죽을 때까지 함께할 자신이 있다면 입회를 멈출게요.” 그 말에 부모님의 반대는 눈물의 기도와 함께 축복으로 변했습니다.
철부지였던 23살의 제가 주님의 부르심을 느끼고 그 부르심에 “예!” 라고 대답할 수 있었던 건 그동안 보여주셨던 부모님의 삶과 기도 입니다. 언제나 손에서 놓지 않는 묵주와 지금도 꺼지지 않는 기도 초…. 부모님의 그 모습이 저의 수도 삶의 힘이 되고 용기가 됩니다.
부모님의 걱정처럼 전 손목과 발목을 각각 5번씩이나 수술했습니다. 여전히 진통제로 일상을 보내지만, 한 번도 그 통증으로 저를 흔들거 나 주님을 원망하지는 않습니다. 불편함과 아픔을 통해서 다른 시선 을 가지게 되었고, 일상의 소중함을 더 많이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 다. 어쩌면 수도자였기에 볼 수 있는 시선이 아픈 저를 긍정적으로 변 화시켜 주었다고 느낍니다.
저를 주님께 봉헌해 주시고, 수도자인 저보다 더 많은 기도를 하시는 부모님과 부족한 저를 당신의 정배로 불러주신 하느님께 감사드립니다.
수도자들을 위한 기도
○ 세례성사의 은총을 더욱 풍부하게 열매 맺도록 자녀들을 수도자의 길로 부르시는 하느님, 수도자들을 통하여 끊임없이 하느님을 찾고 오롯한 사랑으로 그리스도께 봉헌하는 삶이 교회의 시작부터 지금까지 지속되게 하시니 감사하나이다.
● 하느님, 수도자들이 성령께 온전히 귀 기울여 복음의 증거자로서 정결과 청빈과 순명의 삶을 살게 하시어 자유로이 그리스도를 따르고 더욱 그리스도를 닮아 세상의 구원을 위하여 기도하고 봉사하게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아멘.
'삶의 보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8회 추억의 우리 농산물 이야기 | 엄마와 동부콩 (0) | 2025.02.06 |
---|---|
신앙 이야기 | 내 든든한 빽은 하느님 (1) | 2025.02.03 |
신앙 이야기 | 회개(悔改), 너는 안 하니? (0) | 2025.01.27 |
[제11회 신앙체험수기] 장려상- 하느님은 이렇게 일하시는구나_ 이정희(헬레나, 대전교구 성정동본당) (0) | 2024.04.22 |
[제11회 신앙체험수기] 장려상- 하느님을 만나면서 삶은 다시_서지현(아녜스, 독일 쾰른한인성당) (0)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