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년(壬辰年) 용의 해에 담아본 삶의 지표
신묘년(辛卯年) 토끼해를 맞아 새해 삶의 목표를 정하고 그 조임 새의 끈을 다져 묶은 지가 엊그제 같은데 언제 다가왔는지 임진년(壬辰年) 용의 해가 “넌, 올 한 해 동안 어떻게 네 인생을 꾸려 나아갈 건데…?" 하고 눈앞에서 용의 눈으로 부라리는 듯하다. 게다가 2012년 올해는 60년 만에 찾아오는 흑룡의 해라고 하니 왠지 모르는 중압감이 새로운 일 년을 살아내야 할 인생의 어깨를 짓눌러 한층 더 생의 무게를 느끼게 한다. 한편, 2012년 흑룡의 해를 맞아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흑룡처럼 그새 못다 이룬 생의 목표를 죄다 이뤄봐야지 하는 내 실적 야무진 야망을 불타오름을 느낀다.
늘 현실에 실존하지 않으면서도 항상 상상 속의 영물로 자리 잡아온 용은 오랜 세월 동안 동양인의 마음과 정신세계에 크나큰 상징성을 지닌 존재였다. 낡은 역사의 장을 뒤로 넘기다 보면 우리 민족의 가슴속에서도 용에 대한 숱한 설화와 전설적 요소가 함께 숨 쉬며 살아왔었고, 종교와 민속의 대상으로 숭배됐음을 한눈에 능히 느낄 수 있다. 용은 예로부터 우리나라 민족사에 문화와 사상을 풍부하고 다채롭게 꽃피운 신비의 동물이었다. 용은 12간지의 동물 중 유일하게 실재하지 않는 존재의 동물로 봉황, 기린, 거북과 함께 "4령"의 하나로 손꼽혀왔으며, 특히 마른하늘에 먹구름을 일으켜 가뭄에 단비를 내리게 하여 갈증을 해갈 시켜주는 고마운 존재로 신앙의 대상으로 전해져 왔다.
용의 형상은 오래전 중국 명나라 시절 이시진(李時珍)이 지은 본초학의 연구서, 본초강목(本草綱目)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머리에 사슴뿔같이 두 개의 뿌리에서 돋아난 여러 갈래의 뿔이 돋아 있고 몸은 뱀과 같이 길고 호랑이 같은 큰 주먹에 날카로운 여섯 개의 발톱이 돋아있다고 되어 있다. 아울러 등에는 81개의 비늘이 있어 사람이 이에 닿으면 죽게 되고, 제비 고기를 좋아하고 오색실을 싫어한다고 했다. 용이 사는 곳은 하늘과 물속이며 수컷은 바람을 등지고 울고 암컷은 바람을 안고 운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