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포’와 ‘응답’이라는 대화 구조로 이뤄져
하느님과 소통·공감을 위한 구조
말씀을 귀로 듣고 입으로 응답하며
보이지 않는 성령의 활동에 힘입어
마음에 새기고 몸이 움직일 수 있어
(클릭):https://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397229¶ms=page%3D1%26acid%3D11
[알기 쉬운 미사 전례] (11) 말씀 전례는 하느님과 우리의 대화
서로가 말하고 듣고 하는 대화를 통해 우리가 원하는 것은 아무래도 ‘공감’(共感)이지 않을까 합니다. 사람과 사람의 공감이라는 관점에 가장 인상적인 사건...
www.catholictimes.org
'교리 옹달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 쉬운 미사 전례] (13) 독서대와 독서자 (0) | 2024.03.26 |
---|---|
[알기 쉬운 미사 전례](12) 전례 개혁에 따른 미사 독서 (0) | 2024.03.20 |
[알기 쉬운 미사 전례] (10) 본기도인가 모음 기도인가? (0) | 2024.03.06 |
[알기 쉬운 미사 전례] (9) 하늘에서의 찬양이 땅에서도 울리는 대영광송 (1) | 2024.02.27 |
[알기 쉬운 미사 전례] (8) 모든 것을 정화하고, 세례의 은총을 청하는 성수 예식 (1) |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