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오천 명을 먹이신 기적/연중 제18주일(김정렬 신부)
더운 여름날의 시원함을 주님의 사랑에 가득 담아 드립니다.
주님께서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오천 명을 배불리 먹이시고도 남은 조각이 열두 광주리를 채울 정도였다는
오늘 복음의 말씀은 ‘나눔’의 상징으로 잘 알려진 기적 이야기입니다. 주님께서는 이 기적을 통해 ‘나눔’의 교훈을 우리에게 가르쳐주고 계십니다. 그러나 주의 깊게 살펴보면 주님께서 ‘나눔’을 말씀하시기에 앞서 ‘만남’의 소중함을 더욱더 강조하심을 알 수 있습니다.
수천 명의 군중 앞에서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들고 있는 제자들의 모습을 상상해 봅니다. 주님께서는 많은 군
중이 모이자 제자들에게 먹을 것을 주라고 이르시는데 제자들은 불가능하다고 변명합니다. “여기는 외딴 곳이고 시간도 이미 늦었습니다. 그리고 저희가 가진 것은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뿐입니다.” 부족함 속에 주님의 자리를 마련하기 보다는 우리의 힘으로만 하려고 합니다. ‘이것 밖에 없다.’고 하는 마음에는 더 이상 나눌 것도 없습니다. 흩어져 있는 사람들을 예수님께서는 한데 모으셨는데, 우리는 여러 가지 조건과 이유를 들어 돌려보내려고 합니다. 제자들의 대답은 ‘나눌 수 없는 이유’의 변명입니다. 그것은 ‘외딴 곳’이라는 변명, ‘시간이 늦었다’는 변명과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뿐’이라는 변명입니다. 제자들의 이러한 변명은 오늘날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웃에게 그것이 불가능함을 변명하는 우리들의 입에서도 똑같이 흘러나옵니다. “난 시간이 없어.” “우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나누기에는 내가 가진 것이 너무 없어.”
이것밖에 없음에 힘들어 하고 있는 제자들과는 달리 예수님께서는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두고 하느님께 감사
를 드리시며 나누십니다. 당신 자신을 나누시는 예수님의 모습입니다. 주님께서 “너희가 먹을 것을 주어라.”하고 말씀하신 것은 ‘나눔’의 사랑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만남’의 절대성이 앞서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시는 것입니다. 주님은 오천 명의 군중을 군중으로만 보지 않으셨습니다. 주님은 그 한 사람, 한 사람의 고통을 ‘측은한 마음’으로 보셨으며, 따라서 그들과의 만남을 절대적인 만남으로 생각하셨습니다.
사랑은 나눔입니다. 그러나 그 나눔이 참사랑으로 승화되기 위해서는 ‘나눔’의 행위보다 먼저 ‘만남’의 행위에 더 운명적인 가치를 두어야 합니다. 주님께서는 우리를 만나셨습니다. 우리가 주님을 만난 것이 아니라 주님께서 우리를 만나셨습니다. 주님께 있어 너와 나는 둘이 아니라 하나인 것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은총을 우리에게 주시기 위해서 언제나 준비하고 계십니다. 더운 여름날 나 자
신을 나누며 감사의 기도를 드릴 때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열 두 광주리가 넘는 시원함을 선사해 주실 것입니다. 이 미사동안 우리에게 베풀어주시는 하느님의 은총을 충만히 받아 가도록 합시다.
'강론 두레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나눔은 기적의 어머니 (0) | 2011.07.29 |
---|---|
[부산] 마태 14, 13-21. (0) | 2011.07.29 |
[서울] 뻥이요~~~!! (0) | 2011.07.29 |
렉시오 디비나에 따른 복음 묵상 (0) | 2011.07.16 |
[군종] 예수님께서 뿌리는 ‘좋은 씨’ (0) | 2011.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