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년전 제주 명소 10군데ㅣ지금의 핫플레이스와 어떻게 다를까ㅣ옛그림과 현재 모습 비교하기
(클릭);https://www.youtube.com/watch?v=07s-bBWBWag
우리나라 최고의 여행지로 손꼽히는 제주도!
제주도를 여행하는 방법은 저마다 다양하겠지만(예쁜 사진 찍기, 먹방 여행, 아름다운 해변 카페, 한라산 등반 등등), 제주도를 찾는 가장 큰 이유는 아름다운 풍광 때문이겠지요.
옛날에는 쉽게 갈 수 없는 섬이라 벼슬아치가 지방관으로 부임하거나 죄를 짓고 유배지로 가는 정도라 제주의 명소가 제대로 알려지기 어려웠고,
이야기를 듣더라도 찾아가기는 더더욱 어려웠던 곳입니다.
그럼에도 제주를 찾았던 옛사람들이 남긴 기록이 있는데, 그 중 하나로
1694년 7월부터 1696년 9월까지 제주목사를 지낸 이익태는 제주의 명소 10곳을 꼽아 글로 기록하고 그림으로 그리게 했습니다.
이 탐라십경에 나타난 제주의 명소가 현재는 어떤 모습인지, 여전히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는 곳은 또 어떤 곳들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각 장소를 묘사하는 글 내용은 국립제주박물관에서 펴낸 '지영록' 번역본에서 가져왔습니다.
00:00 도입
00:29 탐라십경과 탐라순력도
01:22 한라산 백록담과 영곡(영실)
03:52 취병담(용연과 용두암)
05:08 성산일출봉
06:33 산방산과 용머리해안
07:36 천제연폭포 천지연폭포 정방폭포
10:28 서귀소(서귀포항 일대, 외돌개, 서귀진터)
11:50 조천관 별방소 명월소(협재해변과 용암동굴지대)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 #성산일출봉 #탐라십경 #탐라순력도 #천제연폭포 #천지연폭포 #정방폭포 #산방산 #용머리해안 #용두암
[ BGM ]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Surfing On Waves - https://youtu.be/75J0Z0hbQfc
[ 이미지 출처 ]
* 관동8경 병풍 / 탐라십경도를 모사한 제주십경 그림 : 국립민속박물관(https://www.nfm.go.kr)
* 탐라순력도 :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소장
* 구름 덮인 백록담 / 설악산 신흥사 영산회상도 / 산방굴사 / 소천굴 입구 / 소천굴의 용암종유석 / 황금굴 : 문화재청(https://www.cha.go.kr/)
* 물 고인 백록담 분화구 / 협재굴 : VisitJeju
* 마라도 항공사진 : 한국문화관광연구원_공공누리(https://www.kogl.or.kr/)
* 1960년대 한라산 백록담에서 열린 철쭉제 / 용연에서 바다쪽으로 본 방향 : 제주도_공공누리(https://www.kogl.or.kr/)
* 영실 기암괴석 영상 : 문화유산채널
* 제주관광 사진첩 표지의 용두암 : 대한민국역사박물관(http://archive.much.go.kr/)
* 1977년 제주도 관광기념 사진첩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_e뮤지엄(http://www.emuseum.go.kr)
* 제주도 성산일출봉의 다양한 층리 / 1972년 조천포구 :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_e뮤지엄(http://www.emuseum.go.kr)
* 산방굴사 소나무 : 연합뉴스
* 다랑쉬오름 / 비양도 : 월간 산
* 천제연폭포에서 물놀이하는 사람들 1953년 : flickr의 m20wc51님 앨범(https://www.flickr.com/photos/5845115...)
'역사 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등포 지난 120년 이야기ㅣ20세기를 지나 21세기 초반까지 변화 (1) | 2023.12.17 |
---|---|
1968년 서울 영상으로 보기ㅣ전쟁 이후 다시 찾은 한국 (1) | 2023.12.10 |
1973년 서울 이야기ㅣ1973년 이전과 이후 변화과정 함께 보기 (1) | 2023.11.26 |
1952년 부산ㅣ현재와 비교하며 역사를 알아보는 설명과 함께 (2) | 2023.11.19 |
멍때리며 보는 숭례문 140년ㅣ1884년부터 현재까지 (1) | 2023.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