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2021년 3월 31일 음력: 2월 19일

松竹/김철이 2021. 3. 31. 08:23

오늘의 역사

2021년 3월 31일 음력: 2월 19일

(클릭):http://history.chosun.com/history/list.jsp?hm=0331&

 

조선닷컴! 조선일보 DB - 오늘의 역사

소설 ‘백경’에 등장하기도 했던 향고래. 국립수산과학원 사진 제공. 향고래떼 70여년 만에 동해안에서 목격 2004년 3월 31일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70여년 만에 향고래 무리가 목격됐다. 국립수산

history.chosun.com

 

 

2004년 3월 31일

향고래떼 70여년 만에 동해안에서 목격

소설 ‘백경’에 등장하기도 했던 향고래. 국립수산과학원 사진 제공.

2004년 3월 31일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70여년 만에 향고래 무리가 목격됐다. 국립수산과학원은 4월 8일 “지난달 31일 경북 포항 구룡포 앞 10마일 해상에서 어미와 새끼들로 구성된 8마리의 향고래 가족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향고래는 이빨고래류 중에서 유일한 대형 고래로 몸 길이는 13~ 19m, 무게는 최대 57t에 달하며 창자 속에서 생기는 방향성 물질이 고급 향수의 재료로 쓰이면서 과거 무분별하게 남획됐다. 또 향고래는 체내의 기름이 윤활유와 완전 연소유 등으로 쓰이면서 18세기 미국 포경산업의 비약적인 발달 원인이 됐고 소설 ‘백경’의 소재로 등장하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소재 반구대 암각화(신석기시대 말기부터 청동기시대에 그려진 바위 그림)에 두 마리의 향고래가 그려져 있고, 1930년 울산 근해에서 다섯 마리가 포획된 기록이 마지막으로 남아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관계자는 “앞으로 새끼들이 회귀 본능으로 계속 동해로 돌아와 개체수를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총 69건

2011년 '한국 마술의 원조' 이흥선씨 별세
2009년 정부, 제2롯데월드 건설 최종 허용
2009년 ‘황성옛터’의 가수 이애리수 별세
2005년 식물인간 테리 시아보 사망
2004년 추억의 교외선 마지막 운행
2004년 제14회 이해랑연극상에 김삼일씨 선정
2003년 미국의 대이라크전 비난기사 게재한 피터 아네트 해고
2003년 미국, 2002년 세계 각국 인권보고서에서 북한의 인권유린 심각성을 발표
2001년 영화 ‘친구’ 개봉
2000년 대우자동차 인천 부평공장서 파업결의대회 갖고 전면 파업에 돌입(-4월 1일)
2000년 미국 암연구학회 회장에 한국인 홍완기 박사 선출
2000년 일본 홋카이도 우스화산 폭발
1999년 대구 가천동 고분군서 신라 금동관 출토
1999년 중국의 `어시책(御試策)` 목판원본, 일본에서 발견.
1999년 현대상선 `듀크호`, 북한 `만폭호`와 인도양 스리랑카 앞 공해상에서 충돌
1998년 원로 영화배우 김신재씨 별세
1996년 클린트 이스트우드 35세 연하와 결혼
1996년 `복싱백작` 아르게요 은퇴 선언
1995년 김용식 전 외무장관 별세
1995년 귀순교포 오수룡씨 기자회견 통해 북한실상 폭로
1991년 알바니아 첫 다당제 총선 실시 - 노동당이 재집권
1990년 KAL, 소련에 첫 취항
1990년 소련, 사상 첫 야당인 소련 신자유민주당(LDPSU) 창당
1990년 남북음악인,일본 동경에서 `한겨레울림특별연주회` 공동개최
1989년 주가지수 1,000포인트 돌파
1983년 콜롬비아 강진
1982년 레이건 미국 대통령 소련 핵무기 동결안 거부.
1981년 국가보위입법회의 폐지
1981년 경향신문 창립총회, 문화방송과 분리키로
1981년 언론중재위원회 발족
1981년 청탁배격 범국민운동 개시.
1976년 미국 뉴저지주 최고재판소, 부분적 뇌사 인정 판결
1971년 서울~부산 자동전화 개통
1970년 일본 적군파 소속 학생 9명, 일본 여객기 `요도호` 하이재킹
1969년 한미간 위성중계 직통전화 개통.
1969년 부정공무원 880명 적발. 사무관급이상 102명
1969년 한국-튀니지 국교 수립
1968년 존슨 대통령, 월남 北暴 중지와 평화협상 호소하고 차기 대통령 불출마 성명.
1967년 미국-소련 영사협정 서명
1966년 베트남 반미. 반정부 데모 격화
1964년 브라질 군부 반란
1963년 과테말라에 무혈 군사혁명.
1959년 달라이 라마 2600km 대장정 끝에 인도로 망명
1959년 세계탁구대회서 한국여자 2위 입상.
1959년 한국-덴마크, 국교 수립
1958년 소련 핵실험 일방 중지 선언.
1953년 유엔군. 중국의 한국휴전회담 재개 제안 수락
1952년 한미석유협정 체결
1949년 대북 교역 금지
1948년 미국의 정치가 앨버트 고어 출생
1939년 일본, 신남군도 영유 선언.
1930년 최승희 무용 창작 발표회
1928년 불교전수학교 서울 명륜동에 설립(현 동국대학교)
1924년 시대일보 창간
1920년 조선 태형령 폐지
1919년 인도 간디, 영국의 치안유지법 반대 불복종운동 지휘
1909년 프랑스 작가 로베르 브라지야크 출생
1906년 장지연- 윤효정 등 대한자강회 발족
1905년 독일군, 탄치한 상륙. 제1차 모로코사건 발발
1889년 파리 에펠탑 개관
1855년 작가 S 브론디 출생
1855년 영국 소설가 샬롯 브론테 사망
1854년 미국 페리 제독 일본서 개항 조약 체결
1809년 러시아 작가 니콜라이 고골리 출생
1801년 신유사옥
1732년 오스트리아 작곡가 프란츠 요셉 하이든 출생
1631년 영국 시인 존 단 사망
1621년 영국 시인 정치가 마넬 출생
1596년 프랑스 철학자 데카르트 출생